728x90
반응형
GitHub
쿠브플로우 관련 코드 내용은 GitHub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.
https://github.com/Seokii/Study-MLOps
GitHub - Seokii/Study-MLOps: Study MLOps with Kubeflow
Study MLOps with Kubeflow. Contribute to Seokii/Study-MLOp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
github.com
참고사이트 : 모두의 MLOps
(쿠브플로우 공부에 많은 도움이 된 사이트입니다!)
Experiment 생성하기



왼쪽의 Experiments (KFP) 메뉴에서 Create experiment 선택 후
새로운 experiment를 생성합니다.
Run 생성하기

만든 파이프라인에서 Create Run 버튼을 클릭합니다.

Experiment를 선택합니다.

파이프라인 코드 작성시 생성한 Config 값을 입력합니다.
그 후, Start 버튼을 눌러 파이프라인 런을 생성합니다.
Run 결과 확인하기



쿠브플로우 우측의 Runs 메뉴에서 생성한 파이프라인 런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그래프의 상태를 통해 현재 컴포넌트의 진행 정도를 알 수 있습니다.

그래프의 컴포넌트를 클릭 해 자세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입력 값 100, 200을 받고 함수를 실행해 결과 값으로 300이 출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
728x90
반응형
댓글